커뮤니티

언니는 일등 요리사

2020-10-14

문화 문화놀이터


삶의 풍경이 머무는 곳
언니는 일등 요리사
'글. 유병숙'

    “맛있네.” 
    “이게 무슨 국인데요?” 
    국그릇을 물끄러미 바라보던 시어머니는 마치 고장 난 레코드처럼 “아휴, 뜨끈하니 맛있네.”라는 말씀만 되풀이하기 시작했다.



    치매를 앓고 계신 어머니는 엉뚱한 대답을 반복하곤 했다. 무엇을 모른다는 말씀은 절대 하지 않았다. 망각의 세계가 어머니의 언어를 장악하고 있었다. 사물을 앞에 두고도 그 이름을 모르는 병, 치매. 나는 왜 어머님이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을 던졌던 걸까? 그냥 “미역국 맛있게 드세요.” 하면 될 것을. 
    혹시 “어멈아, 미역국 맛이 제대로구나! 참 잘 끓였다. 내 입에 딱 맞아.”라는 말을 기다리고 있었던 걸까? 아! 그는 내가 어머니께 듣고 싶었던 최고의 칭찬이기도 했다.  
    개성으로 시집와 시할머니께 전수받은 어머니의 손맛은 유별나게 깔끔하고 담백하며 맛깔스러웠다. 박완서의 소설 《미망(未忘)》에 소개되어 독자들의 시선을 모았던 그 개성 음식들. 그런 밥상을 우리는 누렸었다. 이는 어머니의 자랑이었고 가족의 행복이기도 했다. 
    하지만 그 독특한 비법을 소상히 알려주는 일은 없었다. 며느리는 물론 시누이들에게조차 입을 열지 않으셨다. 칭찬을 독차지하고 싶은 마음이 얼마나 크기에 그러셨을까? 그 성역에 나는 감히 발도 디밀지 못하고 주위만 뱅뱅 맴돌곤 했었다.  
    어머니의 낙은 TV 요리 프로그램 시청이었다. 때론 새로운 조리법을 창조해 친척들을 놀라게 했다. 어쩌면 그것은 아버님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해 쌓인 스트레스를 풀어내는 유일한 탈출구였을지도 모른다.
    내가 주방에 없을 때 어머니는 후다닥 음식을 만드셨다. 그 속도를 이기지 못한 그릇들이 중구난방 조리대에 널브러져 있기 일쑤였다. 소낙비를 만난 듯 어수선한 부엌에서 나는 늘 망연자실했다. 좀 가르쳐주면 어때서 그러시는 건지. 어머니의 정통 전수자는 누가 뭐래도 내가 아닌가?
    먹어본 사람만이 그 맛을 기억한다고 했다. 어머니의 비밀스러운 조리법을 어깨너머로 외우고, 맛을 보고 또 보았으며, 튀김기름에 얼굴을 데어가며 흉내를 내기 시작했다. 어떡해서든 어머니께 인정받고 싶었다.  
    결혼 5년 차 즈음의 어느 한적한 점심때였다. 어머니와 나는 달랑 된장찌개 한 냄비를 앞에 놓고 김치도 없이 밥을 먹었다. 한참을 드시더니 “너랑 나랑 살면 이렇게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것을. 참 맛있고 편하구나.” 하셨다. 순간 머리가 번쩍했다.
    음식은 음식일 뿐이었다. 요리에의 집착은 한낱 부질없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스쳤다. 요리라는 업보가 평생 어머니를 짓누르고 있지는 않았을까? 당신의 막내딸이라고 칭하던 나에겐 그 마법이 손을 내밀지 않기를 바랐는지도 모른다. 그해 여름 그 단출했던 소반은 이제 어머니와 나만의 전설이 되었다. 
    잠깐 틈을 내보이던 어머니는 다시 본연의 자세로 돌아갔고 나의 감질나는 종종걸음은 계속되었다. 그렇게 익힌 음식들과, 은밀하게 어머니와 나만이 공유했다고 믿었던 맛의 세계는 이제 그 원천을 잃어버리고 말았다. 
    아침상에 미역국을 올리려 간을 보다가 아! 그 맛이 찾아왔음을 느꼈다. 첫애 출산 후 어머니가 끓여주셨던 그 맛이 꿈결처럼 찾아왔다. 달큼하고 구수하며 가슴 속까지 개운했던 그 맛! 어느새 아지랑이처럼 산모 시절 추억이 스멀스멀 올라왔다. 
    어머니는 큰 솥에 쇠고기 양지머리를 두 근 넣고 푹 삶은 뒤 고기는 건져서 잘게 썰어두었다. 그 국물의 반을 덜어내고 박박 씻어둔 대각미역을 넣고 집 간장으로 간을 했다. 거기에 참기름을 살짝 첨가하여 달달 볶았다. 어느 정도 미역에 간이 배면 나머지 국물을 조금씩 나눠 넣으며 푹 끓였다. 노랗게 국물이 배어 나오면 얼추 다 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썰어 놓은 고기를 고명으로 얹었다. 마늘이나 파를 넣지 않아도 시원한 맛이 났다. 수없이 많은 미역국 조리법이 있지만, 어머니는 늘 이 방법을 고집하셨다. 단순한 음식일수록 간을 맞추는 비법이 숨어있었다. 음식은 장맛이라고 늘 장 담그기와 장독대 관리에도 정성을 아끼지 않으셨다.
    산모는 하루 일곱 번 먹어야 젖이 잘 돈다며 어머니는 새벽 다섯 시부터 상을 들이미셨다. 나는 졸린 눈을 미역국에 빠뜨려야 했다. 반찬도 없이 밥에 미역국, 게다가 하루 일곱 번이라니. 쉽지 않았다. 그래도 질리지 않았던 것은 그 정성 때문이었으리라. 또한, 우리 아이 먹일 양식인데 마다할 이유가 없었다. 우리는 환상의 콤비였다. 어머니는 삼칠일 동안 미역국을 떨어뜨리지 않았고 나는 달게 먹었다. 
    이제는 그 맛을 어머니 대신 내가 내고 있다. 아무리 흉내 낸다 한들 그분만 같으랴! 지나간 날들이 꿈속처럼 아련하기만 하다. 내 앞에서 맛나게 들고 있는 이 어르신이 그날의 그 어머니일까?
    내가 한눈파는 사이 어머니는 숟가락으로 드셔야 할 미역국을 젓가락으로 집어 들고 있었다. 국물이 눈물처럼 뚝뚝 식탁에 떨어졌다. 그날의 그 미역국은 어디로 간 것일까? 맛만 돌아오고 시간은 돌아오지 않았다. 어디 가면 찾을 수 있을까? 따뜻했던 그 날의 밥상은 기억 속에 정갈하기만 한데. 그 시절 그 총명했던 어머니의 손끝은 어느 안개 속을 헤매고 있을까? 
    어머니께 “맛있지요?”여쭈니 “이런 건 처음 먹어봐요. 언니가 한 건 다 맛있어요. 어디서 배우셨어요?” 하신다. 
    “다 어머니한테 배웠어요. 전에 어머니가 잘하셨던 음식이잖아요. 생각나세요?” 하니 믿을 수 없다는 듯 멀뚱히 나를 바라보셨다. 
    어머니는 갑자기 엄지손가락을 추켜세우시더니 “언니는 일등요리사예요. 정말 맛있어요. 어디 가서 이런 음식을 먹어봐요. 정말 최고예요.” 하며 남은 미역국을 후루룩 마셔버렸다. 
    나를 언니라 칭하는 어머니. 어머니는 진심을 이야기하고 있는 걸까? 내가 듣고 싶었던 말을 어쩌면 이렇게 정확히 한꺼번에 쏟아내는 걸까? 텔레파시가 어머니의 머리가 아닌 가슴과 소통한 게 틀림없다. 어머니의 음식에 비하면 초라하기 그지없는 미역국이 아닌가. 하지만 그러면 어떠랴.  
    “정말이세요? 그 말씀 진심이지요?” 하자 어머니는 “아휴! 그럼요 언니. 나는 거짓말 못 해요.” 하신다. 역시 누가 뭐래도 어머니와 나는 환상의 콤비다. 우리는 함께 마주 보며 한껏 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