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가이드

국대정형외과 건강칼럼
추운 날씨에 더 주의해야 하는 척추 질환
'척추관협착증'

겨울철이 되면 낮은 기온 때문에 몸이 움츠러들면서 인대와 근육이 단단하게 경직되는 상황이 많아진다. 이러한 상태는 신체기능을 감소시키고 혈액순환을 어렵게 만들게 되는데 척추와 관절은 추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부위로, 이 시기에 질환이나 통증이 유발할 수 있다. 보통 허리 통증이 나타나면 허리디스크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허리를 굽히거나 앉아 있을 때 고통이 없고 허리를 꼿꼿이 펼 때 증상이 심해진다면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해 봐야 한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추관 안에 있는 인대가 비이상적으로 부풀고 척추관 내벽이 좁아져 다리로 이어지는 신경에 압박이 생기는 질환으로 다리 경련, 마비, 근력 약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신경 압박으로 인한 증상은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데 상태가 악화하면 가까운 거리를 보행하는 것조차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척추관협착증은 오래 방치하지 않고 조속히 치료해야 한다. 덧붙이자면 해당 질환은 치료가 늦어질수록 회복 기간 또한 길어질 수 있으므로 조기 치료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되는 편이다.
척추관협착증은 다른 퇴행성 척추질환과 비교한다면 치료 방법이 상당히 까다로운 편이다. 일반적으로 기능이 감소하고 약해진 허리 주변 조직들의 기능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방식으로 신경 압박과 통증을 개선한다. 과거에는 허리통증이 생기면 반드시 수술해야만 해결될 수 있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요즘은 여러 매체에서 척추질환에 대한 비수술적인 요법 정보를 많이 다뤄서인지 증상 초기에 정형외과를 찾아 도움을 받는 사람이 많아졌다. 이처럼 척추 질환은 발병 초기에 도수치료나 주사 치료, 약물치료 등 보존적인 방법으로 충분히 회복할 수 있다.





청주국대정형외과 신재명 원장은 이에 대해 “보존적인 방법은 척추관협착증을 치료하는데 좋은 치료일 수 있으나 만약 거동이 불편할 정도로 통증이 강해진 경우에 주사 치료, 약물치료로도 개선이 안 된다면 수술적인 방법을 고려해 봐야 할 수 있다.” 고 말하며 “그러나 대부분 염증으로 인해 강하게 발생하는 통증은 신경성형술을 적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는 편이다.”라고 덧붙였다.
신경성형술은 척추관협착증 외에도 다양한 척추질환에 사용되고 있는 치료법이다. 지름 1mm 정도 되는 길고 가느다란 카테터를 척추 경막외강에 주입하게 되는데 이때 카테터에는 초소형 카메라가 달려있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치료가 진행된다. 병변 부위에 도달한 카테터는 유착된 조직을 박리하고 약물을 뿌려주어 염증과 통증을 개선하는 역할을 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은 치료 후에도 다시 유착될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하여 치료 효과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다.
신경성형술의 모니터링은 고해상도 영상장치인 c-arm을 통해 실시된다. 이 덕분에 병변 부위에 직접적이고 정확한 치료를 할 수 있으며 후유증 발생의 위험도 대폭 줄어든다. 해당 방법은 전신마취가 아닌 국소 마취로 진행되어 몸이 약하거나 이미 다른 질환을 겪고 있는 사람이라도 안전하고 부담 없이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진행 시간도 10분에서 20분으로 짧은 편이며 회복 기간에 유발되는 통증도 적어서 무리 없이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다.
신원장은 “정교하고 섬세한 척추 조직을 다루는 신경성형술과 같은 치료법은 반드시 안정이 보장된 장비와 시설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임상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이 집도해야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며 “약물 치료 후에도 허리의 활동 범위가 즉각적으로 돌아오지 않으므로 운동치료, 물리치료를 함께해야 할 수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약물 치료 후에도 재활치료를 통해 꾸준히 관리해 주는 것이 허리의 가동 범위를 신속히 정상적으로 되돌리는 방법이다.

EDITOR 편집팀
국대정형외과 신재명 대표원장
전화 : 0507-1372-2115
주소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상당로 47 (구 남궁병원1층)
現) MBC 의료포털 닥터공감 자문의 / 네이버 지식in 건강상담 위촉의 / 청주 서울연합메디컬정형외과 대표원장/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외래교수 /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수족부전임의/대한 정형외과학회 정회원 / 대한관절경학회 정회원 / 대한 AO골절 전문의과정수료/대한 수부외과학회 정회원 / 대한 슬관절학회 회원 / 대한 척추관절학회 평생회원 / 미국 ASSH학회 논문 발표
본 칼럼니스트의 최근 글 더보기
해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