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손을 사용하는 현대인들이 자주 호소하는 팔꿈치 통증은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일상생활의 제약으로 이어진다. 식사나 세수, 양치질, 옷을 갈아입는 등 평소에 아무렇지 않게 했던 일들이 갑자기 어려워지면서 신체적 고통을 넘어 정신적 고통까지 초래한다. 이러한 팔꿈치 통증의 원인과 특성, 그리고 효과적인 관리법에 대해 알아보자.
팔꿈치는 우리 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관절 중 하나이다. 물건을 들어 올리고 팔을 돌리며 공을 던지는 등 다양한 동작이 팔꿈치가 있어 가능하다. 이처럼 다양한 동작을 가능케 한다는 것은 팔꿈치 구조가 단순하지 않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팔꿈치는 상지 관절의 하나로 위팔뼈와 아래팔뼈를 서로 연결하는 구조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여기에 주변 근육 및 힘줄 등이 자리하여 가역적인 운동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복잡한 구조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팔꿈치 통증은 일상생활 속에서 흔히 겪는 근골격계 이상 증세로 꼽힌다. 가사노동에 시달리는 주부, 팔을 주로 사용하는 운동선수, 무거운 짐을 운반하는 배송직 종사자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테니스엘보와 골프엘보는 테니스선수와 골프선수들에게 자주 발생한다고 하여 붙여진 명칭이기는 하나 스포츠와 밀접한 관련이 없다고 해서 예외는 아니다. 특히 가사노동을 하는 주부나 팔 관절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직업군에서도 흔하게 나타난다.
팔꿈치 통증의 가장 흔한 형태는 테니스엘보(외측상과염)와 골프엘보(내측상과염)이다. 테니스엘보는 팔꿈치의 바깥쪽 돌출 부위에서 발생한 염증으로, 정식 의학명칭으로는 상완골외상과염이라고 한다. 팔꿈치 과사용 증후군의 일종으로, 손목이나 팔의 근육을 무리하게 사용하는 경우 발생한다. 반면 골프엘보는 안쪽 상과 부위의 손목과 손가락을 굽히는 굴곡근이 노화되거나 힘줄이 미세하게 찢어지는 경우에 잘 생긴다.
이러한 통증은 한 번의 충격으로 생기는 것이 아니다. 작은 충격이 반복되고 그 충격이 쌓이면서 서서히 통증이 생기게 된다. 지속적인 사용, 반복되는 동작, 혹은 부상으로 인해 팔꿈치의 힘줄이나 근육에 미세한 손상이 누적되면서 오랜 시간 동안의 반복적인 스트레스나 부상으로 인해 힘줄에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 외에도 팔꿈치 탈구, 팔꿈치 골절, 근육 좌상, 점액낭염, 주관절 터널 증후군 등이 팔꿈치 통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주관증후군은 손목터널증후군과 마찬가지로 팔꿈치 신경이 눌려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팔꿈치 안쪽 통증과 손가락 저림 증상이 나타나고, 증상이 심해지면 팔을 움직이기 어려울 정도로 통증이 심해진다.
팔꿈치 통증은 어떤 증상으로 나타날까? 팔꿈치 바깥쪽 돌출부위에 통증이나 저림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대부분 급성인 경우가 많으며 경직된 것 같은 느낌이나 팔에 힘이 빠지는 증상도 동반될 수 있다. 특히 손목을 위로 꺾는 동작을 할 때 통증이 심해질 수 있으며, 물건을 잡을 때, 주먹을 쥘 때, 문고리를 잡고 돌릴 때처럼 일상에서 손목이나 팔을 사용하는 동작에서 통증이 발생한다.
골프엘보의 경우에는 팔꿈치 안쪽으로 통증을 느끼고 물건을 잡거나 걸레를 짜는 등 손바닥을 펼친 상태에서 엎었다가 뒤집는 행동을 반복할 때 통증이 두드러진다.
2주 이상 팔꿈치 통증이 지속되고 특정 동작을 수행할 때 유독 통증이 심해진다면 병원을 찾아 검사받아야 한다. 테니스엘보와 골프엘보의 진단은 증상을 통해서도 어느 정도는 확인이 가능하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X-RAY와 같은 단순 방사선검사 또는 초음파, MRI와 같은 정밀검사를 통해서 진단 후 치료하게 된다.
혈액 검사를 통해 염증 수치를 검사하고 X-ray로 뼈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며, MRI로 손상 부위 인대를 정밀 검사하여 진단한다. 또한 손목을 뒤로 젖힌 후 시술자가 위로 당기면 팔꿈치 바깥쪽에 통증이 나타나는 특징적인 증상이 있다.
팔꿈치 통증의 치료 방법은 다양하며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의 상황과 손상 정도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치료법이 활용된다.
통증 부위를 붕대나 밴드 등으로 고정하여 되도록 움직이지 말고 안정을 취하도록 한다. 무리한 근육을 충분히 쉬도록 해주는 동시에 스트레칭 운동을 해야 한다. 팔과 손목의 사용을 최소화하며 염증이 발생한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아대를 착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휴식과 동시에 염증 치료를 해야 한다. 소염진통제, 근육 이완제 등을 복용한다. 증상이 심하면 아픈 곳에 주사 요법을 시행한다. 통증을 완화시키고 염증을 가라앉히는 소염진통제 등의 약물을 사용하는 치료법이 효과적이다.
통증 부위의 기능 회복과 재활을 위해 열, 공기, 광선, 전기,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조직의 치유를 촉진시키고, 신체 움직임을 향상시킨다. 물리 치료, 근력 회복운동, 체외충격파 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를 통해 증상이 호전될 수 있다.
충격파가 발생하는 치료기를 사용하여 체외에서 근골격계 통증을 치료한다. 충격파의 강한 파장이 혈관의 재형성을 돕고 주변 조직과 뼈를 활성화시켜 통증 치료에 효과적이다. 이 방법은 충격을 이용해 손상된 조직의 회복을 촉진한다.
여러 방법으로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염증이 심하다면 수술을 통해 치료한다. 하지만 수술을 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많은 사람들이 팔꿈치 통증을 지속적으로 겪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단순 염좌로 여겨 방치한다는 것이 문제다. 만약 테니스엘보, 골프엘보를 제때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만성적인 인대 손상 및 퇴행성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난치성으로 발전해 치료 및 회복 과정이 까다롭고 복잡해지는 만큼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핵심이다.
전문의들은 팔꿈치 통증은 재발하기 매우 쉬운 증상이며 특히 테니스, 골프 등 구기 종목을 즐기는 사람이라면 항상 팔꿈치 질환에 노출되어 있다고 말한다. 아무리 가벼운 부하도 지속적으로 누적되면 팔꿈치 질환을 일으킬 수 밖에 없으므로 충분히 휴식을 취하고 꾸준히 근력 운동, 스트레칭을 하여 근육 자체를 강화해야 한다.
일부 병원에서 한 두번의 주사치료와 체외충격파 치료로 증상의 호전을 경험한 환자들도 있지만, 팔꿈치와 연관된 손목, 어깨, 경추부 등에 대한 치료와 자세의 교정, 기본 근력의 향상 등 재발방지를 위한 근본적 치료가 중요하다.
팔꿈치 통증은 대부분의 경우 과도한 사용이나 반복적인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만큼, 적절한 휴식과 올바른 사용 습관이 중요하다. 특히 팔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이나 활동을 하는 경우, 정기적인 스트레칭과 적절한 휴식 시간을 갖는 것이 예방에 도움이 된다.
만약 2주 이상 지속되는 통증이 있다면 전문의의 진료를 받고 적절한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 완치가 가능하지만, 방치할 경우 만성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자.
EDITOR 편집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