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파킨슨병에 대하여

2018-04-02

라이프가이드 건강헬스


파킨슨병에 대하여
''








    손이 떨리고, 걷는게 불편하고, 무표정이신가요? 파킨슨병은 뇌 속에서 도파민 신경이 괴사하면서 나타나는 질환으로, 근육긴장(rigidity), 서행(badykinesia), 도보이상 등 다양한 운동 장애를 유발하며, 현재까지 확실한 치료 방법이 없습니다.  현재까지 학계에서는 드롱(Delong) 박사 연구팀이 1980년대에 제시했던 ‘운동신호 억제이론’을 파킨슨병 치료 연구에 활용하고 있고, 이 이론은 파킨슨병 환자의 뇌에서 분비되는 기저핵 억제성 신호물질이 뇌의 운동신경을 억제함으로써 운동기능을 방해한다는 이론입니다. 그러나 이 학설은 파킨슨 환자의 복잡한 증상을 완전히 설명할 수 없었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팀이 기저핵(운동을 조절하는 뇌구조체) 신호물질이 타겟신경을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흥분’시킴으로써 파킨슨병의 운동 이상을 유발한다는 연구결과를 내 놓았습니다.
    이에 연구팀은 광유전학 기법으로 생쥐 뇌의 기저핵 신경을 빛으로 자극해 파킨슨병 환자와 유사한 증상을 유발했습니다. 이를 통해 기저핵의 억제성 신호를 받은 시상핵(뇌에서 후각을 제외한 각종 감각정보를 받아 대뇌 피질에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구조체) 신경들이 일시적으로 억제신호에 순응해 억제되는 듯 했으나 이후 ‘반발성 흥분’을 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연구팀은 또 ‘반발성 흥분’을 억제했을 때 다양한 파킨슨 증상을 보이던 파킨슨병 생쥐가 완전히 회복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기저핵의 작용에 의해 시상핵 신경이 ‘억제’되는 것이 아닌 ‘흥분’함으로써 운동질환을 유도했습니다. 반발성 흥분을 약물이나 빛으로 억제함으로써 파킨슨병 증상을 제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 것입니다.




 임상징후              

    흔히 파킨슨병이라는 말보다 파킨슨증후군이라고도 하며, 파킨슨증후군은 파킨슨병의 증상을 나타내는 말로 파킨슨증후군이란 임상적으로 운동완만(bradykine-sia), 근경직의 증가(rigidity), 안정떨림(rest tremor), 비정상적인 자세 반사(abnormal postural reflex), 행동의 동결(freezing), 자세의 변화(postural change)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들을 총칭하는 말입니다. 따라서 파킨슨증후군에는 여러 가지 각기 다른 질환들이 섞여있게 되며, 이들은 치료와 예후가 차이가 나므로 이들을 분류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큰 의의를 갖습니다.
    파킨슨병의 증상은 크게 일차적 증상과 이차적 증상으로 나눌 수 있는데 흑색질의 신경세포 파괴로 인하여 생기는 직접적인 현상이다. 파킨슨 병이라고 진단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일차적인 증상들이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이차적 증상은 일차적 증상으로부터 파생되어 생기거나 흑색질 외의 다른 신경계의 침범에 의하여 생기는 증상들을 지칭합니다. (도파민 : 뇌의 흑색질이라는 신경세포에서 생성되며 흑색질의 신경세포는 뇌의 기저핵이라는 부위와 연결됩니다. 기저핵 : 뇌의 운동피질 및 기타 여러 부위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어 인체의 운동을 부드럽고 조화있게, 또한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매우 중요한 부위입니다.)



 파킨슨 질환의 단계 - 증상

    1) 일차적 증상/경직(rigidity)
경직이란 근육의 긴장도가 증가된 상태로서 힘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 검사자가 관절운동을 시킬 때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마치 관절이 굳은 것처럼 잘 움직여지지 않는 증상입니다. 심한 경우에는 환자의 몸이 관절이 없이 마치 한 덩어리로 딱딱하게 굳어 있는 듯이 보일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강직 증상은 사지의 한 쪽(오른쪽이나 왼쪽)어느 한쪽에서 시작하여 병이 진행하면서 양쪽 모두를 침범하는 경향을 보이게 됩니다. 파킨슨병에서는 이러한 근육의 경직이 종종 떨림과 같이 나타나 검사자가 관절을 움직일 때 마치 톱니바퀴를 돌리는 느낌 같다 하여 치륜상경직이라고도 불리우는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떨림 (진전)
손에서 가장 흔하며 때때로 발에서도 나타나고 머리, 목, 얼굴 근육, 턱에서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떨림 증상도 사지의 어느 한쪽에서 시작하여 병이 진행하면서 양쪽 모두를 침범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보통 떨림은 움직이게 않을 때(휴식할 때) 심해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서동중(움직임이 느려짐)
서동증은 파킨슨병에서 가장 심한 운동기능 장애를 초래하는 증상입니다. 모든 운동을 시작하고자 할 때 시간이 지연되고 느려지며 움직임 자체의 양도 줄어들며 진행 중인 운동이 갑자기 멈추어질 수도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행동이 느려져서 침대에서 일어난다든가 의자에서 일어날 때 예전보다 시간이 많이 걸리고 힘들어 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며, 손의 움직임도 느려져서 글씨 쓰기도 예전보다 힘들어하고 글씨체도 작아지는 등의 모습을 보입니다.

  

<그림> 파킨스병의 주요 증상

    - 보행 장애
보행 장애는 여러 가지 양상을 보일 수 있는데 보행 시작이나 끝 그리고 방향 전환 시에 종종걸음을 보이면서 힘들어 한다든가, 보행 중 팔의 흔들림이 줄어 들며, 짧은 보폭의 종종걸음으로 앞으로 쓰러질 듯한 걸음걸이를 보이거나, 보행 도중 발이 갑자기 땅에 붙어 버린 듯이 걸을 수 없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보행 장애는 서동증이나 균형유지 장애 등이 동반될 경우 더욱 심해질 수 있습니다.


이차적증상

    -언어장애·연하곤란 : 후두근육 강직으로. 목소리도 변하게 되는데 음량이 감소하면서 말이 느려지고 억양이 없어져서 마치 기계가 이야기하는 듯이 들리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전화를 하는 상대방이 환자의 말을 알아듣지 못하는 경우도 있게 됩니다. 음식물을 씹거나 삼키기 힘들고 침을 삼키기 어려워지나 파킨슨병 치료약제로 비교적 쉽게 없어질 수 있습니다.
    - 배뇨장애 및 피부변화 : 배뇨장애는 변비가 오래 계속되어도 나타날 수 있으며 파킨슨병 치료를 위해 사용한 약제의 부작용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얼굴 피부에 기름기가 끼고 허물이 벗겨지는듯한 피부 변화도 볼 수 있습니다. 우울증 파킨슨병 환자는 시시각각으로 변하면서 환자 자신도 이해하기 어려운 자신의 증상에 대해 매우 예민하여 주위의 사소한 말이나 행동에도 쉽게 마음의 상처를 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파킨슨병 환자가 우울증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 치매
치매는 기억력, 인지능력 추상작용, 계산 능력 등의 장애로 나타나는데 혼동이나 지남력의 장애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파킨슨병에서 이러한 치매가 나타나는 경우는 대개 말기의 나이 많은 환자에 해당되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의 파킨슨병 환자에게서는 이러한 정신기능의 장애는 없거나 있더라도 매우 적습니다.



 치료

    파킨슨씨병의 치료에는 세 가지 방법이 있는데 약물치료와 물리치료, 수술에 의한 치료입니다. 파킨슨씨병은 증상이 서서히 시작하며 한번 발생하면 계속 진행하는 병이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약물치료

    *신경보호약제 : vitamin E 등 다양한 신경보호약제들이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 뚜렷한 효과가 입증되지 않고 있습니다.
     *증상완화제 : 레보도파, 도파민작용제 (dopamine agonist), 항콜린약 (anticholinergics), 아만타딘(amantadine), COMT(catechol-O-methy transferase) 억제제, Selegiline



물리치료

    물리치료를 실시하는 목적은 질병의 완치보다는 병의 진행과정 연기와 증상의 완화 그리고 정신적인 효과를 얻는데 있습니다. 치료는 가능한한 강직을 완화시켜 이완을 획득하고 리드미컬한 능동운동과 협조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계획되어져야 합니다. 또한 가장 중요한 이유는 굳어진 근육과 관절을 풀고 운동량 부족으로 인하여 약해진 근육의 힘을 회복시키는 것입니다. 파킨슨병 환자가 아니더라도 팔이 부러져 석고붕대를 오래 하고 나면 팔의 근육 크기가 줄고 관절을 부드럽게 움직이기가 어려운 것처럼 파킨슨병 환자의 경우 관절의 운동이 저하된 상태로 오랜 시간이 지나면 관절이 굳고 근육이 줄어들어 점차 움직이기가 어렵게 됩니다. 물리 치료는 이렇게 짧아진 근육을 적절한 운동으로 펴서 모든 관절의 운동범위를 크게 만들어 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 운동을 하게 되면 약해졌던 근육도 강해지고 힘도 늘어나게 되어 그동안 하지 못했던 것들을 할 수 있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리치료를 통해 환자의 자세고정, 침대에서의 앉고 일어서기, 보행의 교정 등을 시행하며, 호흡을 증대시키고 목소리를 키워서 말을 똑바로 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이완운동 - 부드럽게 흔들기나 리드믹한 기법등은 전정기관을 자극하여 신체전체의 근육을 이완하는데 사용 될 수 있습니다. ex) 매트에서 천천히 구르기
    *관절가동운동 - 능동, 수동 관절 가동운동은 하루에 몇 차례 시행할 수 있는 운동이다. 보통 능동보조운동과 수동운동을 섞어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가동운동 - 한번에 여러 인체분절이 참여하는 기능적 운동 패턴에 기초하여야하고 자세운동과 회전활동에 강조를 두어야 합니다. 길게 앉아서 골반 앞뒤로 기울이기, 옆으로 기울이기, 반대편 하지 만지기, 손뼉 치기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얼굴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운동도 중요합니다.
    *균형 활동(balance activities) - 균형 활동 또한 상호 교대 운동에 기초하여야 한다. 발자국 떼기와 걷기, 팔 뻗기, 앉아서 한쪽 하지 들기, 한 다리로 서기 등과 같은 운동으로 균형을 훈련시킵니다.